예허나라 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순현친왕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이다. 그녀는 서태후의 동생으로, 청나라 황실과 복잡한 인척 관계를 맺으며 가문의 권력 확대에 기여했다. 1851년 혁현과 혼인하여 4남 1녀를 두었으며, 차남 재천이 광서제로 즉위하면서 황실 내 입지가 강화되었다. 1896년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허나라 할라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여허나라 할라 -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는 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의 양어머니로서 융유황태후의 자리에 있었으며, 서태후의 조카딸로 권력 강화를 꾀한 서태후에 의해 황후로 간택되었으나 광서제의 총애를 받지 못했고, 신해혁명 이후 청실 퇴위 조서를 반포하며 청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기도 했지만, 멸망 후에는 청나라의 평화적 정권 이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칭송받았다. - 청나라의 황족 - 아이신기오로 아민
누르하치의 조카인 아이신기오로 아민은 청나라 초기의 장군이자 호쇼이 버일러로, 사대 버일러로서 국정을 담당하고 정묘호란을 주도했으나 영평 점령 실패의 책임을 지고 유폐되어 사망했다. - 청나라의 황족 - 탄위링
탄위링은 1920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만주국 황제 푸이의 총애를 받았으나 방광염 치료 중 사망했으며, 푸이는 그녀에게 명현귀비 시호를 내렸다. - 산시성 (산서성) 출신 - 왕윤
왕윤은 후한 말 관료로서 동탁 암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황건적의 난 진압에도 공을 세웠으나, 동탁 제거 후 잔당의 반란으로 헌제를 지키다 가족과 함께 죽임을 당한, 뛰어난 능력과 충절에도 불구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산시성 (산서성) 출신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예허나라 완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예허나라 완정 |
원래 이름 | 완전 |
휘 | 예허나라 완전 (葉赫那拉 婉貞) |
만주어 | Yehe Nara Hala |
몽골어 | Kubuhe Lamun Gūsai Niyalma |
작위 | 대복진(大福晉) |
출생일 | 1841년 9월 13일 |
출생지 | 산시성 창즈 |
사망일 | 1896년 6월 19일 |
사망지 | 즈리 성 베이징 |
종교 | 불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순현친왕(醇賢親王) |
친인척 | 서태후(셋째언니) 함풍제(셋째형부) 계상(남동생) 동치제(이질) 효정경황후(친정 조카딸) |
아버지 | 혜징 |
자녀 | 소생 4남 둘째아들 광서제(光緖帝) |
생애 및 경력 | |
칭호 | 순헌친왕비 (淳獻親王妃) |
풀네임 | 예허나라 완정 (葉赫那拉·婉貞) |
가문 | 예허나라 (葉赫那拉; 출생) 아이신 교로 (결혼) |
기타 정보 | |
![]() |
2. 생애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의 후궁인 서태후의 여동생이며, 청나라 외척 귀족 예허나라 구이샹의 누이이다. 청나라 제10대 황제 동치제의 숙모이자 이모이며, 순현친왕과의 사이에서 4남 1녀를 두었으나, 장남과 셋째, 넷째 아들과 딸은 요절하였다. 둘째 아들 재첨(載湉)만이 살아남아 1875년 광서제로 즉위하였다.[1][2]
1860년 함풍제의 이복동생 순현친왕과 혼인하였는데,[1] 이는 언니 서태후가 함풍제의 후궁이 된 후, 황실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 정략결혼이었다.[1]
함풍제가 1861년 사망한 후, 동치제가 황제가 되었고, 그의 어머니와 계모인 자안태후가 섭정을 맡았다. 예허나라씨는 1871년 둘째 아들 재첨을 낳았다. 1875년 동치제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재첨은 서태후와 자안태후에 의해 동치제의 계승자로 선택되어 광서제로 즉위하였다.[1]
1891년 1월 1일 남편 순현친왕이 사망하고, 5년 뒤인 1896년 6월 19일 55세로 사망하였다.
2. 1. 가족 배경
예허나라 완전의 언니는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의 후궁인 서태후이고, 남동생은 청나라 외척 귀족 예허나라 구이샹이다. 청나라 제10대 황제 동치제는 그녀의 조카이자 시조카이며, 청나라 제11대 황제 광서제의 황후인 효정경황후는 그녀의 친정 조카딸이자 둘째 며느리이다.2. 1. 1. 가계
항목 | 내용 |
---|---|
부친 | 휘정(惠徵, 1805~1853), 삼등공(三等公) 작위 |
외조부 | 경뢰(景瑞) |
외조모 | 구왈기야(Gūwalgiya)씨 |
모친 | 후차(Fuca)씨 |
친조부 | 휘현(惠顯) |
형제 | 3남 |
남동생 | 귀향(桂祥, 1849~1913), 종일품 무관(都統), 삼등공 작위, 융유황태후의 아버지 |
누이 | 서태후(1835~1908), 함풍제의 후궁, 동치제의 어머니 |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의 후궁인 서태후의 여동생이며, 청나라 외척 귀족 예허나라 구이샹의 누이이다. 또한 그녀는 청나라 제10대 황제인 동치제의 숙모이자 이모가 되며, 부군인 순현친왕과의 사이에서 아들 넷을 두었는데, 그 중 둘째 아들이 청나라 제11대 황제 광서제이다.[1]
2. 2. 혼인
1860년 함풍제의 이복동생 순현친왕과 혼인하였다.[1] 이는 언니 서태후가 함풍제의 후궁이 된 후, 황실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 정략결혼이었다.[1]2. 3. 자녀
예허나라씨는 순현친왕(醇賢親王)과의 사이에서 4남 1녀를 두었으나, 장남, 셋째 아들, 넷째 아들과 딸은 요절하였다. 차남인 재첨(載湉)만이 살아남아 1875년 광서제(光緒帝)로 즉위하였다.[1][2]2. 3. 1. 자녀 목록
배우자 | 자녀 (황자/황녀) | 생몰년 | 비고 |
---|---|---|---|
본처 | 재한(載瀚) | 1865년 2월 4일 – 1866년 12월 9일 | 이흔(奕譞)의 첫째 아들 |
재첨(載湉) | 1871년 8월 14일 – 1908년 11월 14일 | 이흔(奕譞)의 둘째 아들, 1875년 2월 25일 광서제로 즉위 | |
셋째 아들 | 1875년 2월 13일 – 1875년 2월 14일 | 이흔(奕譞)의 셋째 아들 | |
재광(載洸) | 1880년 11월 27일 – 1884년 5월 18일 | 이흔(奕譞)의 넷째 아들 | |
딸 | 요절 |
2. 4. 광서제 즉위와 섭정
함풍제가 1861년 8월 22일에 사망한 후, 의귀비의 아들인 재춘(載淳)이 황제가 되었고, 그의 어머니와 계모인 자안(慈安)이 섭정을 맡았다.예허나라씨는 1871년 8월 14일 둘째 아들인 재천(載湉)을 낳았다. 1875년 1월 12일 동치제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재천은 서태후와 자안태후에 의해 동치제의 계승자로 선택되어 광서제로 즉위하였다.[1]
2. 5. 사망
1891년 1월 1일에 남편 순현친왕이 사망하고, 5년 뒤인 1896년 6월 19일에 55세로 사망하였다.2. 6. 평가
마지막 황제이자 자이펑(載灃)의 아들인 푸이(溥儀)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예허나라씨를 상당히 폭압적인 여성으로 묘사하며, 그녀가 자신의 하인들과 자녀들, 그리고 의붓자녀들을 괴롭혔다고 적었다. 또한 그녀의 아들 중 적어도 한 명은 영양실조로 사망했다고 기록하였다.[1] 서태후(慈禧太后) 또한 광서제가 즉위식을 위해 자금성으로 왔을 때를 회상하며, "그는 매우 허약한 아이였고, 걸을 수도 없을 만큼 야위고 약했다. 그의 부모는 그에게 무엇이든 먹이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 같았다."고 회고하였다.[2]3. 청나라 황실과의 관계
흥정은 함풍제의 후궁이자 동치제의 생모였고, 남동생 여허나라 구이샹은 청나라의 외척 귀족이었다.[1] 완젱은 동치제에게는 숙모이자 이모가 된다.[1] 남편 순현친왕과의 사이에서 얻은 4남 중 둘째 아들이 광서제이다.[1]
동치제는 완젱의 이질이자 시조카이며, 광서제의 황후인 효정경황후는 완젱의 친정 조카딸이자 둘째 며느리였다.[1]
완젱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1]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휘정(惠徵) | 삼등공(三等公) |
어머니 | 후차(Fuca)씨 | |
외조부 | 경뢰(景瑞) | |
외조모 | 구왈기야(Gūwalgiya)씨 | |
친조부 | 휘현(惠顯) | |
형제 | 귀향(桂祥) | 종일품 무관(도통), 삼등공(三等公), 소정황후의 아버지 |
누이 | 흥정 | 동치제의 어머니 |
4. 칭호
참조
[1]
서적
Puyi
1989
[2]
서적
Der Ling
1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